설립기 (~1990)
학회 설립 후 회계학연구, 뉴스레터 창간 등 학회 기초 형성
● 1982년 12월 20일자 한국회계학회 1호 뉴스레터 발행 (발행인: 유세환, 편집인: 조성하)
● 권두언 : 회계의 변혁과 연구 및 교육환경의 변화 (유세환)
● 정회원 332명, 기관회원 1개 (1982년 10월 28일 기준)
● 집행부 : 회장 1인 (유세환), 부회장 3인 (이정호, 오세도, 차재덕) 외 상임이사 8인, 감사 2인
● 주요 업무보고 :
· 1981년~1982년 연구발표회 4회 개최
· 학회 학술지(회계학연구) 발간 보고, SFAS및 SAS발간 배부
· 회계학과에 대한 대학모형 교육과정개발 연구(문교부 의뢰)
· 1981년 및 1982년 추계학술발표회, 1982년 회계학회 세미나
● 1981년, 1982년 수입지출보고(수입: 12,454,149원, 지출: 12,254,149원, 이월: 200,000원)
● 홍익대학교 박범호 교수의 지원으로 동 대학 미술대학 권명관 교수가 제작
● 공인회계사 등 실무계의 학회 가입을 추진하기로 함
● 2인 이상의 당시 회원의 추천에 의해 신규회원 가입허용
● 1991년 10월 18일에 개최된 제2차 전체 이사회에서 시상에 관한 규정을 확정 (연구, 공로)
● 연구논문상 심사위원 (정용근(동국대) 외 위원4인), 공로상 심사위원 (전임회장단 9인외 위원 3인)
체제구축기 (1991~2000)
사단법인 설립, 회계저널 창간 등 학회 체제 구축
● 1992년 미국 AAA Doctoral Consortium 참가자 추천의뢰에 따라 1992년 1월 8일 분과위원회 결정으로 서강대학교 손승태 박사과정에게 관련 경비 $500 지원
● 1992년 9월 9일 조선호텔 Ninth Gate에서 사단법인 설립을 위한 발기인총회를 개최함
· 발기인 : 윤종안(동국대학교), 송자(연세대학교), 신정식(한양대학교), 이정호(서울대학교), 김형주(성균관대학교) 정종암(연세대학교), 조성하(고려대학교), 남상오(서울대학교) 등 8인
● 1992년 10월 22일 재무부로부터 사단법인 설립허가(허가번호: 92-1호)
● 1992년 11월 12일 부로 설립등기 절차를 완료 (등기번호, 제2567호; 등록번호, 110121-0025679) 함으로써 사단법인 한국회계학회로 개편
● 회계저널(가칭) 창간호 모집 안내
· 실무(회계담당자, 공인회계사)에서 활용가능한 실용적인 내용(예: 원가계산, 관리회계시스템, 세무회계 등)
· 기업회계기준에 관한 내용(예: 회계기준에 관한 분석, 회계기준 Discussion Memorandum), 국가간 회계기준비교)
· 회계학교육에 관련된 내용
● 발간회수 : 연1회
● 1994년 6월 20일~23일 용평 (후원: 쌍용양회)
· Information Economics(정문종, 이화여자대학교)
· General Research Methodology(정혜영, 경희대학교)
· Capital Marker related Studies(김권중, 경희대학교)
·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s(한경석, 숭실대학교)
· Behavioral Accounting Research(김동철, 동국대학교)
· 논문작성법(송인만, 성균관대학교)
● 24개 대학 33명의 박사과정이 참여한 것으로 보고
● 학회 결산월을 기존 12월에서 6월로 변경
● 기존 춘계 및 추계 학술대회에서 동계 및 하계 학술대회 체제로 전환
· ’98년 동계학술대회 (1998년 2월 20일(금), 서울대학교 신경영관)
· ’98년 하계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개최 (1998년 6월 11일(목)~12일(금), 지리산 한국콘도)
● 기업경영의 투명성 제고, 회계정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한 회계정보대상 시상 (1998년 4월 16일(목)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컨벤션 센터, 후원: LG텔레콤)
· 증권감독원, 한국증권거래소, 한국상장사 협의회의 기업 추천 및 남상오(서울대학교)교수를 위원장으로 총7인의 심사위원회에서 선정
● 학술상, 공로상과 함께 시상했으나 이후 회계투명성시상식 (20대 정기영 회장), 투명회계대상시상(~2017년까지) 이라는 명칭으로 별도 행사로 진행
● 학회업무의 계속성 유지 및 회원 편의 제고를 위해 한국공인회계사회 4층에 상주 사무실 마련 (상근직원 박수정)
● 2020년 5월 26일 학회사무실 마포 이전 (뉴스레터 147호, 38대 정석우 회장)
성장기 (2001~2011)
회원 수, 게재논문 대폭 증가로 성장
● 중앙대학교 김창수 교수가 디자인 및 개설 총괄
● 2003년 9월 24일, 삼일회계법인 대회의실
● 국민대 서정우 교수의 경과 및 심사보고
● 1회 저명교수 정운오(서울대학교)교수는 수상 소감과 함께 ‘회계학연구의 어제, 오늘 그리고 내일’이라는 주제로 기념 강연
● 현재 삼정회계법인은 ACI저명 교수(2018년), 안진회계법인은 딜로이트 학술상(2020년), 한영회계법인은 Young Scholar Fellowship(2021년)을 후원
● 2002년도부터 매년 100명 내외 회원 수 증가
● 2001년말 802명에서 2022년말 3,027명으로 3.8배 증가
● 회계학연구 연 4회 발간(1995) 이후 호당 7편 이상으로 게재논문 증가
● 회계저널 연 5회로 증간 (2001)
성숙기 (2012~)
회계학연구의 Scopus 등재, 학술상 제정 등 학문적 발전
● 한국연구재단 시행 2015년도 학술지 평가결과 우수 등재학술지 선정
· 최근 3회 학술지 평가결과, 학계 내 평판도 및 KCI 인용지수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
· 체계평가: 28.50점/ 평가내용: 57.20점/ 학술분야특수평가: 9.80점/ 총 95.50점
● 1997년에 창간된 회계학연구의 SSCI등재 중간 단계로 Scopus 등재를 추진하였으며 이를 위해 2019년 7월 22일(월)부터 회계학연구 투고 사이트가 영문으로 변경 공지되었음
● 송민섭 서강대학교 교수 주도로 등재를 위한 작업을 진행한 결과 2020년 Scopus에 등재됨(P-ISSN: 1229-3288, E-ISSN:2058-7193)
● IFRS 도입 이후 현황 점검을 위한 원칙중심회계의 올바른 정착방안 세미나 개회(5회)
· 회계감리 및 감독방향, 회계감사, 기업회계, 법적이슈, 종합 논의
● 2019년 6월 20일~22일 한국회계학회와 아시아회계학회연합회 국제학술대회 개최
● 2020년 회계관련 8개 학회 통합학술대회 준비 시작
● 한국관리회계학회, 한국국제회계학회, 한국세무회계학회, 한국세무학회, 한국정부회계학회, 한국회계정보학회, 한국회계정책학회, 한국회계학회
● 해원 조익순 학술상 선정을 위한 규정을 신설(2020년 6월 8일 제정)
· 1대 회계학회장(1973년~1976년)이었던 해원 조익순 회장을 2016년 회계인 명예의 전당에 최초헌액
· 한국회계학회는 해원 조익순 회장님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2019년 10월 2일 故조익순 교수님 추모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했으며
· 1회 학술상 수상자로 Santa Clara, KAIST 김용태 교수를 선정 시상함(2020년 하계학술대회)
● 수민 송자 학술상 선정을 위한 규정을 신설(2021년 5월 25일 제정)
· 7대 회계학회장(1988년)이었던 수민 송자 회장님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2020년 8월 21일 故송자 교수님 학술심포지엄을 개최
· 1회 학술상 수상자로 이화여자대학교 한종수 교수를 선정 시상함(2021년 동계학술대회)
● 대학생들의 회계 실증 사례 분석을 통해 회계 분야에 대한 저변확대 및 관심 고취
· 후원기관 : 금융감독원, 전국은행연합회, 한국거래소, 한국경제신문, 한국공인회계사회, 한국상장사협의회, 한국세무사회, 한국회계기준원, 한국CFO협회 (9개기관)
● 회계사랑감사사랑(서울대학교, 금융감독원장 상) 팀 등 총 20개 팀이 참가하였으며 10개 팀에게 기관장상을, 10개팀에게 장려상을 수여함
● 제2회 대회(뉴스레터 156호, 41대 유승원 회장)는 총 17개 팀이 참가하였으며 1,2차에 걸친 심사를 통해 최종 본선 5팀(기관장상 수여), 장려상 4팀을 선정하였음
● 총 62회의 국제학술교류 활동, 누적 참여 인원 총 259명, 회당 평균 4.17명 참석
● 일본과의 학술교류를 시작으로(~2000년), 중국, 대만, 미국 등으로 확대되었으며(2000~2010), 2011년 이후 대만, 미국의 국제교류가 급증하고 최초로 유럽과의 학술교류 활동이 시작 되었음
학회 설립 후 회계학연구, 뉴스레터 창간 등 학회 기초 형성
● 1982년 12월 20일자 한국회계학회 1호 뉴스레터 발행 (발행인: 유세환, 편집인: 조성하)
● 권두언 : 회계의 변혁과 연구 및 교육환경의 변화 (유세환)
● 정회원 332명, 기관회원 1개 (1982년 10월 28일 기준)
● 집행부 : 회장 1인 (유세환), 부회장 3인 (이정호, 오세도, 차재덕) 외 상임이사 8인, 감사 2인
● 주요 업무보고 :
· 1981년~1982년 연구발표회 4회 개최
· 학회 학술지(회계학연구) 발간 보고, SFAS및 SAS발간 배부
· 회계학과에 대한 대학모형 교육과정개발 연구(문교부 의뢰)
· 1981년 및 1982년 추계학술발표회, 1982년 회계학회 세미나
● 1981년, 1982년 수입지출보고(수입: 12,454,149원, 지출: 12,254,149원, 이월: 200,000원)
● 홍익대학교 박범호 교수의 지원으로 동 대학 미술대학 권명관 교수가 제작
● 공인회계사 등 실무계의 학회 가입을 추진하기로 함
● 2인 이상의 당시 회원의 추천에 의해 신규회원 가입허용
● 1991년 10월 18일에 개최된 제2차 전체 이사회에서 시상에 관한 규정을 확정 (연구, 공로)
● 연구논문상 심사위원 (정용근(동국대) 외 위원4인), 공로상 심사위원 (전임회장단 9인외 위원 3인)
사단법인 설립, 회계저널 창간 등 학회 체제 구축
● 1992년 미국 AAA Doctoral Consortium 참가자 추천의뢰에 따라 1992년 1월 8일 분과위원회 결정으로 서강대학교 손승태 박사과정에게 관련 경비 $500 지원
● 1992년 9월 9일 조선호텔 Ninth Gate에서 사단법인 설립을 위한 발기인총회를 개최함
· 발기인 : 윤종안(동국대학교), 송자(연세대학교), 신정식(한양대학교), 이정호(서울대학교), 김형주(성균관대학교) 정종암(연세대학교),
조성하(고려대학교), 남상오(서울대학교) 등 8인
● 1992년 10월 22일 재무부로부터 사단법인 설립허가(허가번호: 92-1호)
● 1992년 11월 12일 부로 설립등기 절차를 완료 (등기번호, 제2567호; 등록번호, 110121-0025679) 함으로써 사단법인 한국회계학회로 개편
● 회계저널(가칭) 창간호 모집 안내
· 실무(회계담당자, 공인회계사)에서 활용가능한 실용적인 내용(예: 원가계산, 관리회계시스템, 세무회계 등)
· 기업회계기준에 관한 내용(예: 회계기준에 관한 분석, 회계기준 Discussion Memorandum), 국가간 회계기준비교)
· 회계학교육에 관련된 내용
● 발간회수 : 연1회
● 1994년 6월 20일~23일 용평 (후원: 쌍용양회)
· Information Economics(정문종, 이화여자대학교)
· General Research Methodology(정혜영, 경희대학교)
· Capital Marker related Studies(김권중, 경희대학교)
·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s(한경석, 숭실대학교)
· Behavioral Accounting Research(김동철, 동국대학교)
· 논문작성법(송인만, 성균관대학교)
● 24개 대학 33명의 박사과정이 참여한 것으로 보고
● 학회 결산월을 기존 12월에서 6월로 변경
● 기존 춘계 및 추계 학술대회에서 동계 및 하계 학술대회 체제로 전환
· ’98년 동계학술대회 (1998년 2월 20일(금), 서울대학교 신경영관)
· ’98년 하계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개최 (1998년 6월 11일(목)~12일(금), 지리산 한국콘도)
● 기업경영의 투명성 제고, 회계정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한 회계정보대상 시상 (1998년 4월 16일(목)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컨벤션 센터, 후원: LG텔레콤)
· 증권감독원, 한국증권거래소, 한국상장사 협의회의 기업 추천 및 남상오(서울대학교)교수를 위원장으로 총7인의 심사위원회에서 선정
● 학술상, 공로상과 함께 시상했으나 이후 회계투명성시상식 (20대 정기영 회장), 투명회계대상시상(~2017년까지) 이라는 명칭으로 별도 행사로 진행
● 학회업무의 계속성 유지 및 회원 편의 제고를 위해 한국공인회계사회 4층에 상주 사무실 마련 (상근직원 박수정)
● 2020년 5월 26일 학회사무실 마포 이전 (뉴스레터 147호, 38대 정석우 회장)
회원 수, 게재논문 대폭 증가로 성장
● 중앙대학교 김창수 교수가 디자인 및 개설 총괄 (http://www.kaa-edu.or.kr)
● 2003년 9월 24일, 삼일회계법인 대회의실
● 국민대 서정우 교수의 경과 및 심사보고
● 1회 저명교수 정운오(서울대학교)교수는 수상 소감과 함께 ‘회계학연구의 어제, 오늘 그리고 내일’이라는 주제로 기념 강연
● 현재 삼정회계법인은 ACI저명 교수(2018년), 안진회계법인은 딜로이트 학술상(2020년), 한영회계법인은 Young Scholar Fellowship(2021년)을 후원
● 2002년도부터 매년 100명 내외 회원 수 증가
● 2001년말 802명에서 2022년말 3,027명으로 3.8배 증가
● 회계학연구 연 4회 발간(1995) 이후 호당 7편 이상으로 게재논문 증가
● 회계저널 연 5회로 증간 (2001)
회계학연구의 Scopus 등재, 학술상 제정 등 학문적 발전
● 한국연구재단 시행 2015년도 학술지 평가결과 우수 등재학술지 선정
· 최근 3회 학술지 평가결과, 학계 내 평판도 및 KCI 인용지수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
· 체계평가: 28.50점/ 평가내용: 57.20점/ 학술분야특수평가: 9.80점/ 총 95.50점
● 1997년에 창간된 회계학연구의 SSCI등재 중간 단계로 Scopus 등재를 추진하였으며 이를 위해 2019년 7월 22일(월)부터 회계학연구 투고 사이트가 영문으로 변경 공지되었음
● 송민섭 서강대학교 교수 주도로 등재를 위한 작업을 진행한 결과 2020년 Scopus에 등재됨(P-ISSN: 1229-3288, E-ISSN:2058-7193)
● IFRS 도입 이후 현황 점검을 위한 원칙중심회계의 올바른 정착방안 세미나 개회(5회)
· 회계감리 및 감독방향, 회계감사, 기업회계, 법적이슈, 종합 논의
● 2019년 6월 20일~22일 한국회계학회와 아시아회계학회연합회 국제학술대회 개최
● 2020년 회계관련 8개 학회 통합학술대회 준비 시작
● 한국관리회계학회, 한국국제회계학회, 한국세무회계학회, 한국세무학회, 한국정부회계학회, 한국회계정보학회, 한국회계정책학회, 한국회계학회
● 해원 조익순 학술상 선정을 위한 규정을 신설(2020년 6월 8일 제정)
· 1대 회계학회장(1973년~1976년)이었던 해원 조익순 회장을 2016년 회계인 명예의 전당에 최초헌액
· 한국회계학회는 해원 조익순 회장님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2019년 10월 2일 故조익순 교수님 추모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했으며
· 1회 학술상 수상자로 Santa Clara, KAIST 김용태 교수를 선정 시상함(2020년 하계학술대회)
● 수민 송자 학술상 선정을 위한 규정을 신설(2021년 5월 25일 제정)
· 7대 회계학회장(1988년)이었던 수민 송자 회장님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2020년 8월 21일 故송자 교수님 학술심포지엄을 개최
· 1회 학술상 수상자로 이화여자대학교 한종수 교수를 선정 시상함(2021년 동계학술대회)
● 대학생들의 회계 실증 사례 분석을 통해 회계 분야에 대한 저변확대 및 관심 고취
· 후원기관 : 금융감독원, 전국은행연합회, 한국거래소, 한국경제신문, 한국공인회계사회, 한국상장사협의회, 한국세무사회, 한국회계기준원,
한국CFO협회 (9개기관)
● 회계사랑감사사랑(서울대학교, 금융감독원장 상) 팀 등 총 20개 팀이 참가하였으며 10개 팀에게 기관장상을, 10개팀에게 장려상을 수여함
● 제2회 대회(뉴스레터 156호, 41대 유승원 회장)는 총 17개 팀이 참가하였으며 1,2차에 걸친 심사를 통해 최종 본선 5팀(기관장상 수여), 장려상 4팀을 선정하였음
● 총 62회의 국제학술교류 활동, 누적 참여 인원 총 259명, 회당 평균 4.17명 참석
● 일본과의 학술교류를 시작으로(~2000년), 중국, 대만, 미국 등으로 확대되었으며(2000~2010), 2011년 이후 대만, 미국의 국제교류가 급증하고 최초로 유럽과의 학술교류 활동이 시작 되었음